-
첫번째 ㅁ > 한자 키 누르기 : 아무 자음이나 됨 ㄲ,ㅆ 도 됨, 원문자는 ㅇ
ㅁ을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눌렀을 때 나오는 확장문자입력기 -
두번째 문자표 app 사용하기 : 윈도우 키 + S , 문자표 app 실행
문자표 앱 에서 글꼴선택후 해당글꼴이 지원하는 문자 선택 (가장 속 편하네 ㅋㅋ)
- 세번째 Alt + 숫자 : 이거 때문에 이거 쓰는건데, 처음알았음 헐~~
왼쪽 Alt 키 누르면서 [4][3][2][3][9] 키를 숫자패드에서 누르고 Alt 키 때면 ① 가 입력됨
나머지는 표 참조
숫자 | 입력되는 문자 |
43239 | ① |
43240 | ② |
43241 | ③ |
43242 | ④ |
43243 | ⑤ |
43244 | ⑥ |
43245 | ⑦ |
43246 | ⑧ |
43247 | ⑨ |
43248 | ⑩ |
43249 | ⑪ |
43250 | ⑫ |
43251 | ⑬ |
43252 | ⑭ |
43253 | ⑮ |
이제 ㅇ 누르고 한자키 누르고 화살표 눌러서 찾아가지고 선택할 필요없이 Alt + 43239 누르면 됨
문서작성할때 유용 ㅋ 심지어 regedit 에서
HKEY_CURRENT_USER/Control Panel/Input Method
여기다가 문자열 값
EnableHexNumpad 를 1로 입력
하고 재부팅하면
Alt 키 누르면서 숫자패드 [+]키 부터 2460 누르고 Alt 키 때면 ①이 입력됨
2460이 뭐냐면 ①의 Unicode 값임 이걸 어떻게 알 수 있냐면
문자표 app 밑에 보고 알 수 있음